반응형
Chap7. 파일 시스템과 디스크 관리하기
02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구조
- 파일을 inode로 관리
- 디렉은 파일의 목록을 가지고 있는 파일
- 특수파일로 장치에 접근가능
- ext4 파일 시스템 구조
- 블록그룹 : 파일 저장의 단위인 블록(4kb)을 그룹으로 묶은 것
- 블록 그룹 0 : 중요정보
- 블록 그룹 a : 블록 그룹 0 중요정보 복사
- 블록 그룹 b : 데이터 저장 - 데이터블록 비트맵,inode비트맵(블록과 inode의 사용지도) / inode테이블,데이터블록(파일의 inode와 데이터)
- 더 자세한 구조 이름까지 외워야 할까....?
- inode 구조
- 파일의 정보 + 블록 주소들... -> 블록주소마다 데이터를 담은 블록있음. 공간이 모자라면 블록에 또 블록주소들이 있음. 이렇게 단계에 따라서 직접블록/간접 블록/이중 간접 블록 이라 함
- 디렉터리 계층구조 : 리눅스의 전체 파일과 디렉을 관리하는 구조. 한 파일 시스템이나 여러 개의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 가능
- 파일시스템은 디렉터리 계층구조에 연결(마운트)되어있어야 접근과 사용 가능
03 파일 시스템과 마운트 - ?잘 모르겠.. 나올 거 같음 공부..
- 마운트 : 파일시스템을 디렉터리 계층구조의 특정 디렉터리(마운트 포인트)와 연결
- /etc/fstab : (file system table)리눅스 부팅 시 해당 파일 설정에 따라 파일시스템 자동 마운트
- 장치명 : 파일시스템 장치명 특정 디스크 지정
- 마운트 포인트 : 자동 마운트될 마운트포인트 설정
- 파일시스템 종류
- 파일 시스템 속성 옵션 : 읽기전용ro/읽기쓰기가능rw 파일시스템이다 등
- 덤프 설정 : 파일 시스템 전체를 한꺼번에 저장하는 dump 가능0 불가1
- 파일 점검 옵션 : 부팅 시 해당 파일시스템에서 fsck를 수행할 지 설정. 옵션이 0 1 2 인 파일시스템 순으로 진행.
- 0 : 점검fsck 안함
- 1 : 루트 파일시스템에 설정되어있는 옵션임. 루트 파일시스템을 점검함
- 2 : 루트 파일시스템 이외의 파일시스템에 설정되어있는 옵션임. 2가 설정되어있는 파일시스템이면 점검fsck수행함
- mount 파일시스템(하드디스크 등) 마운트포인트 : 마운트, 인자없으면 현재 마운트 정보 출력
- umount : 언마운트. 해당 파일시스템을 나와서 해야함. 장치에 파일 시스템 생성은 마운트 해제 후 해야함. sudo
- sudo fdisk -l : usb메모리의 장치명 확인
- sudo fdisk 장치명 : 해당 장치에 파티션 생성하기
- n : 장치에 새 파티션 생성. 종류를 골라야 함. p는 기본 파티션(primary). 파티션 번호와 크기 설정.
- p : 파티션 설정 확인
- w : 설정 저장
- sudo mke2fs -t ext4 파티션 : 생성한 파티션을 포맷하여 해당 파티션에 +ext4파일시스템 생성
- mount 경로 마운트포인트 : 위에서 만든 경로의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포인트에 마운트
04 디스크 추가 설치
- 가상머신에 디스크 추가 설치(내 컴 용량을 추가로 주는 것) : 새 디스크 장착 -> 디스크 파티선 -> 파티션에 파일시스템 -> 디스크 마운트 순서로 진행(위 usb와 같음)
- 파티션 : 하나의 디스크를 독립된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
- /dev/sda : 첫번째 디스크 전체를 의미하는 장치명
- /dev/sda1 : 디스크의 파티션 첫번째. 2면 두번째. sda를 파티션으로 나눈 것이 sda1, sda2...
- fdisk : 디스크의 파티션 생성 관리
- sudo fdisk -l : 파티션 정보
- sudo fdisk 장치명 : 해당 디스크의 파티션 작업
- n, p, w : 위와 동일
- mkfs, mke2fs : 파일시스템 생성
- sudo mke2fs -t ext4 파티션, sudo mke2fs.ext4 -v 파티션 : 해당 파티션명에 +ext4파일시스템 생성 / +상세정보
- 이 파티션명이 파일시스템이 되니까 마운트 시 파일시스템 인자로 입력하면 됨
- LVM : 여러 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하는 개념. 파티션과 반대
05 디스크 관리
- df -h : 파일시스템의 디스크 용량 확인 +이해하기 쉬운 단위로
- du -s 디렉 : 디렉 또는 사용자별(-s ~user1) 디스크 사용량 확인. -s에 디렉 인자 없으면 전체 디스크 사용량
- sudo fsck 장치명 : (file system check)파일시스템 검사 및 복구(-a). 언마운트 후 가능. 장치명은 파티션명 즉 파일시스템명이라고 생각. e2fsck
- sudo badblocks -v 장치명 : 배드블록(상태가 안좋은 블록) 검사 +상세정보
- 백업 슈퍼블록을 이용해 파일시스템 복구
- sudo dumpe2fs 장치명 : 파일시스템 정보 출력 - 이걸로 슈퍼블록 백업의 주소8193 확인
- sudo e2fsck -b 8193 -y 장치명 : 복구한다. +이 주소에 있는 슈퍼블록 백업을 이용해 +질문은 다 yes로
- dd : 지정한 만큼 블록 복사
반응형
'뚝딱 공부 상자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Chap11 : 네트워크 설정 (0) | 2021.12.01 |
---|---|
[Linux] Chap10 훑기 : 사용자 관리 (0) | 2021.11.10 |
[Linux] Chap6 암기 : 프로세스 관리하기 (0) | 2021.10.16 |
[Linux] Chap5 암기 : 파일 접근 권한 관리하기 (0) | 2021.10.16 |
[Linux] Chap4 암기 : 셸의 기능과 종류 (0) | 2021.10.16 |